파이썬에서 줄 분리 하는 방법
줄 분리의 필요성
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한 줄에 너무 많은 코드가 쓰여져 가독성이 떨어지거나, 한 화면에 보이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.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‘줄 분리(line continuation)’입니다. 줄 분리는 긴 코드를 여러 줄로 나누어 가독성을 높이고 코드를 관리하기 쉽게 하는 기술입니다.
백슬래시(\
)를 이용한 방법
파이썬에서 가장 기본적인 줄 분리 방법은 백슬래시(\
)를 사용하는 것입니다. 이 기호를 줄 끝에 붙이면 코드가 다음 줄로 이어진다는 의미가 됩니다.
1
2
result = 1 + 2 + 3 + 4 + \
5 + 6 + 7 + 8 + 9
이렇게 하면 result
변수에는 1부터 9까지의 합계가 저장됩니다.
괄호를 이용한 방법
또 다른 방법은 괄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.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셋 등의 자료형이나 함수의 괄호 안에서는 자동으로 줄이 이어집니다.
1
2
result = (1 + 2 + 3 + 4 +
5 + 6 + 7 + 8 + 9)
이 방법은 자료형이나 함수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연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주의사항
줄을 분리할 때 공백이나 탭을 조심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백슬래시 다음에 공백이 오면 SyntaxError
라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정리
줄 분리는 파이썬에서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기능입니다. 백슬래시나 괄호를 활용해서 코드를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. 이 기능을 활용하면 복잡하고 긴 코드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